내가 보려고 만든 개발 환경 설정 - 윈도우편
윈도우 환경 적응하려고 만든 개발 환경 설정 포스팅
필자는 대학생 시절부터 스타벅스 출입증을 부여받기 위해 맥북만을 고집했습니다.
그놈의 사과 감성이 뭐라고, 어릴 적 윈도우와의 추억을 모두 버리고 맥북을 사용하게 되면서 처음에는 맥북의 인터페이스에 많이 당황했습니다만, 지금은 오히려 macOS 환경이 더 익숙해졌습니다.
개발을 하면서 항상 macOS 환경에서만 개발을 진행하다가,
최근에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을 진행할 일이 생겨 윈도우 노트북을 구입하게 되었고,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을 진행하면서 필요한 개발 환경 설정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해당 포스팅은 FE Developer의 환경 설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 시스템 기본 설정 및 업데이트
윈도우 업데이트
윈도우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기본적인 설정을 진행합니다.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Windows Update
- 업데이트 설치 완료 후 재부팅
개발자 모드 활성화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개발자용
개발자 모드
활성화
Powershell 실행 정책 변경
관리자 권한으로 PowerShell을 실행한 후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2. 필수 브라우저 및 개발 도구 설치
브라우저 설치
브라우저는 본인의 선호도에 따라 설치하시면 됩니다.
크롬 브라우저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필자는 크롬 브라우저를 메인으로 사용합니다.
- Chrome: 주 개발 브라우저
- Firefox: 크로스브라우저 테스트 용
- Edge:
윈도우 기본 브라우저이지만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Git 설치 및 설정
- Git for Windows 다운로드 및 설치
- Git Bash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유저 이메일"
코드 에디터 및 IDE 설치
코드 에디터 또한 본인의 선호도에 따라 설치하시면 됩니다.
저는 Cursor
를 메인 코드 에디터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VSCode의 확장프로그램을 import 하기 위해 VSCode 부터 설치하겠습니다.
Visual Studio Code
- Visual Studio Code 다운로드 및 설치
- 확장프로그램 설치
- Korean Language Pack
- Auto Rename Tag
- Prettier
- Material Icon Theme
- indent-rainbow
- GitLens
- ESLint
위의 확장프로그램은 거의 필수적으로 설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Cursor AI
- Cursor 다운로드 및 설치
- Cursor AI 실행
- vscode import
Node.js 및 패키지 매니저 설치
Node Version Manager (nvm-windows) 설치
여러 Node.js 버전을 관리하기 위해 nvm
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nvm-windows 다운로드 및 설치
- 설치 후 Powershell 재시작
- Node.js LTS 버전 설치
nvm install lts
nvm use lts
패키지 매니저 설정
Node.js 설치가 되면 npm이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필자는 npm 보다는 yarn 혹은 pnpm을 주로 사용하므로 설치하겠습니다.
npm install -g yarn
npm install -g pnpm
터미널 환경 개선
윈도우의 터미널은 기본적으로 터미널 환경이 매우 좋지 않고,
가시성이 굉장히 떨어지기 때문에 터미널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좋습니다.
Windows Terminal 설치
Windows Terminal 다운로드 및 설치
PowerShell 설치
PowerShell 다운로드 및 설치
Oh My Posh 설치 (터미널 테마) ✅ 선택 사항
winget install JanDeDobbeleer.OhMyPosh
설정 파일을 생성합니다.
oh-my-posh init pwsh --config "$env:POSH_THEMES_PATH\jandedobbeleer.omp.json" | Invoke-Expression
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설치 ✅ 선택 사항
많은 FE 도구들이 Linux 환경에서 더 잘 작동하므로 WSL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wsl --install
재부팅 후 Ubuntu 설치를 완료하고, 사용자 계정을 생성합니다.
WSL에서 개발 환경 구축
# 시스템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 Node.js 설치 (WSL 환경에서 설치)
curl -fs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lts.x | sudo -E bash -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 혹은 nvm을 설치합니다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9.0/install.sh | bash
개발 도구 및 유틸리티 설치
필수 유틸리티
- Postman or Insomnia: API 테스트 도구
- Figma: 디자인 협업 도구
추가 유틸리티
- 7-Zip: 압축 파일 관리
- Everything: 파일 검색 도구
- PowerToys: 윈도우 생산성 확장 도구들이
패키지 매니저를 통한 설치
Chocolatey
또는 winget
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Set-ExecutionPolicy Bypass -Scope Process -Force; [System.Net.ServicePointManager]::SecurityProtocol = [System.Net.ServicePointManager]::SecurityProtocol -bor 3072; iex ((New-Object System.Net.WebClient).DownloadString('https://community.chocolatey.org/install.ps1'))
필요한 프로그램 일괄 설치
choco install googlechrome firefox vscode git nodejs postman 7zip everything powertoys -y
마무리
FE 개발자의 환경에 맞는 윈도우 개발 환경 셋팅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필자가 윈도우로 처음 개발을 시작하게 되면서 개발 환경 설정에 애를 먹었는데,
까먹지 않고 다음에 다른 Windows PC에서 개발을 시작할 때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오직 나를 위한)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