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보려고 만든 개발 환경 설정 - 맥편
맥북만 쓰던 사람의 맥북 개발 환경 설정 포스팅
지난 포스팅에서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 환경 설정을 정리했습니다.
저 글을 쓰고 나서 윈도우를 계속 사용하고 있지만, 맥북의 인터페이스에 이미 익숙해져서 한 달이 지난 지금도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을 하는 것이 익숙하지가 않습니다.
장비 업그레이드를 위해 새 맥북을 구입하기도 하고
혹은 근무하는 회사에서 맥북을 지원해주는 경우가 간혹 있어
오늘은 맥북 환경에서 개발 환경 설정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사실 제가 매번 개발 환경 설정할 때마다 헷갈려서, 제가 보려고 쓴 글이 맞습니다.
윈도우 환경설정과 마찬가지로
해당 포스팅은 FE Developer의 환경 설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 macOS 기본 설정
맥 업데이트
- 시스템 설정 -> 일반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업데이트 설치 완료 후 재부팅
개발에 유용한 시스템 설정
개발에 유용한 시스템 설정은 본인의 선호도에 따라 설정하시면 됩니다.
defaults write com.apple.finder AppleShowAllFiles YES
killall Finder
이건 Finder
에서 숨김 파일을 보이게 하는 설정입니다.
.gitignore
, .env
등과 같은 설정 파일들은 기본적으로 숨김파일로 설정되어 있어,
터미널에서 해당 명령어를 설정하면 숨김 파일을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mkdir ~/Screenshots
defaults write com.apple.screencapture location ~/Screenshots
개인적으로 버그 리포트나, PR 리뷰, 이슈 등록할 때 스크린샷을 많이 찍게 됩니다.
기본값은 ~/Desktop
에 저장되는데, 여러 파일들이 중구난방으로 섞일 수 있어 지저분해보이므로
저같은 경우에는 별도로 폴더를 만들어서 저장하고 있습니다.
# Dock 자동 숨기기 (코드 에디터 화면 공간 확보)
defaults write com.apple.dock autohide -bool true
# 키 반복 속도 빠르게 (코드 네비게이션)
defaults write NSGlobalDomain KeyRepeat -int 1
defaults write NSGlobalDomain InitialKeyRepeat -int 10
# 압축 파일에 .DS_Store 파일 포함 안 함
defaults write com.apple.finder CreateDesktop -bool false
XCode Command Line Tools 설치
macOS에서 개발을 진행하려면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해줍시다.
xcode-select --install
2. Homebrew 설치 (패키지 매니저)
윈도우의 Chocolatey
혹은 winget
과 같은 맥 전용 패키지 매니저입니다.
대부분의 개발 도구들은 이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설치 후 PATH를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Apple Silicon 기준)
echo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zprofile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Intel Mac의 경우 Homebrew가 /usr/local
에 설치되므로 별도의 PATH 설정이 필요 없습니다.
3. 터미널 환경 구축
iTerm2 설치
macOS의 기본 터미널보다 훨씬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고,
UI 또한 훨씬 더 깔끔하고 예쁩니다.
고민의 여지 없이 설치해줍니다.
brew install --cask iterm2
Oh My Zsh 설치
zsh 쉘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주는 프레임워크입니다.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Powerlevel10k 테마 설치 ✅ 선택 사항
git clone --depth=1 https://github.com/romkatv/powerlevel10k.git ${ZSH_CUSTOM:-$HOME/.oh-my-zsh/custom}/themes/powerlevel10k
.zshrc
파일을 열어 테마를 변경합니다.
ZSH_THEME="powerlevel10k/powerlevel10k"
설정 후 터미널을 재시작하면 프롬프트가 나오면서 테마를 적용할 수 있게 됩니다.
유용한 Oh My Zsh 플러그인 설치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autosuggestions ${ZSH_CUSTOM:-~/.oh-my-zsh/custom}/plugins/zsh-autosuggestions
git clone https://github.com/zsh-users/zsh-syntax-highlighting.git ${ZSH_CUSTOM:-~/.oh-my-zsh/custom}/plugins/zsh-syntax-highlighting
이후, .zshrc
파일을 열어 플러그인을 추가합니다.
plugins=(
git
zsh-autosuggestions
zsh-syntax-highlighting
web-search
jsontools
node
npm
)
설정 후 터미널을 재시작하면 플러그인이 적용됩니다.
git
: Git 플러그인zsh-autosuggestions
: 명령어 자동 완성zsh-syntax-highlighting
: 명령어 하이라이트web-search
: 웹 검색jsontools
: JSON 파일 편집node
: Node.js 환경 변수npm
: npm 환경 변수
4. Git 설정
Git은 필수 입니다.
개발자라면 설명할 필요 없겠죠?
이것도 바로 설치해줍니다.
brew install git
설치 후 설정을 진행합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유저 이메일"
SSH키를 생성하고 Github와 연결합니다.
ssh-keygen -t ed25519 -C "your.email@example.com"
eval "$(ssh-agent -s)"
ssh-add ~/.ssh/id_ed25519
pbcopy < ~/.ssh/id_ed25519.pub
이제 복사한 키를 GitHub Settings -> SSH and GPG keys에 추가합니다.
5.Node.js 환경 구축
NVM (Node Version Manager) 설치
윈도우에서 설정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nvm
을 설치해줍니다.
앞의 포스팅에서도 설명했지만 nvm은 여러 node.js 버전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9.0/install.sh | bash
.zshrc
파일을 열어 환경변수를 추가합니다.
export NVM_DIR="$HOME/.nvm"
[ -s "$NVM_DIR/nvm.sh" ] && \. "$NVM_DIR/nvm.sh"
[ -s "$NVM_DIR/bash_completion" ] && \. "$NVM_DIR/bash_completion"
Node.js 설치
저는 LTS 버전을 설치할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nvm install --lts
nvm use --lts
nvm alias default node
nvm alias default node
는 기본 버전을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특정 버전을 기본으로 설정하고 싶다면 nvm alias default <version>
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6. 코드 에디터 설치
저는 Cursor
를 메인 코드 에디터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vscode의 확장프로그램을 import 하기 위해 vscode부터 설치하고 있는데,
해당 에디터 설치에 관한 설명과 확장프로그램 설정에 대한 설명은 윈도우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macOS는 Unix 기반 시스템이라 개발 환경 구축이 윈도우보다 직관적이고 강력합니다.
특히 Homebrew를 통한 패키지 관리와 강력한 터미널 환경은 개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켜줍니다.
설명이 부족하지만 혹시라도 제 포스팅을 읽는 macOS를 처음 사용하는 FE 개발자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개발 환경은 개인의 취향과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이 설정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설정을 모두 마친 후에는 brew bundle dump
를 사용하여 설치한 패키지 목록을 Brewfile로 저장해두면,
나중에 새 맥북에서 brew bundle
로 한 번에 복원할 수 있습니다.
Happy Coding! 🚀